안녕하세요, 블로거 리밋넘기입니다. 실업급여 수급 자격을 갖췄다는 안도감도 잠시, 우리 머릿속에는 가장 현실적인 질문이 떠오릅니다. '그래서, 한 달에 얼마를 받게 되는 거지?' 저 역시 그랬으니까요. 😊
많은 분들이 단순히 '월급의 60%'라고 알고 계시지만, 실제 수급액은 상한액과 하한액이라는 중요한 변수 때문에 예상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실제로 제 월급의 60%는 상한액을 훌쩍 넘었지만, 저는 상한액인 66,000원만 받을 수 있었죠. 오늘은 이 복잡한 계산법을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3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, 내 월급만 입력하면 예상 수급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간편 계산기까지 준비했습니다!
내 실업급여, 3단계로 직접 계산해보기 ✍️
실업급여 지급액(구직급여)은 아래 3단계를 거쳐 최종 결정됩니다. 차근차근 따라와 보세요.
1단계: 1일 평균임금 계산하기
먼저 퇴직 직전 3개월간 받은 임금 총액을 해당 기간의 총일수로 나누어 하루 평균임금을 계산합니다.
※ 임금 총액에는 기본급, 각종 수당이 포함되며, 비정기 상여금이나 퇴직금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.
2단계: 1일 구직급여액 계산하기 (월급의 60%)
1단계에서 구한 1일 평균임금의 60%를 계산합니다. 이것이 나의 기본적인 1일 실업급여 수급액이 됩니다.
3단계: 상한액/하한액과 비교하여 최종 결정!
2단계에서 계산된 금액이 정부에서 정한 상한액보다 높으면 상한액을, 하한액보다 낮으면 하한액을 받게 됩니다. 즉, 아무리 월급이 많았어도 상한액 이상은 받을 수 없고, 월급이 적었어도 하한액은 보장해주는 제도입니다.
- 2025년 상한액: 1일 66,000원 (변동 시 재공지)
- 2025년 하한액: 1일 63,104원 (2024년 기준이며, 2025년 최저임금 인상 시 함께 인상됨)
2025년 실업급여 간편 모의계산기 🧮
계산이 복잡하게 느껴지시나요? 아래 계산기에 최근 3개월 월평균 급여(세전)만 입력해보세요! 2025년 상·하한액 기준 예상 수급액을 바로 알려드립니다.
얼마나 오래 받을 수 있나요? 소정급여일수 확인 🗓️
실업급여를 받는 총 기간인 '소정급여일수'는 퇴사 당시의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.
| 가입기간 / 나이 | 50세 미만 | 50세 이상 및 장애인 |
|---|---|---|
| 1년 미만 | 120일 | 120일 |
| 1년 이상 ~ 3년 미만 | 150일 | 180일 |
| 3년 이상 ~ 5년 미만 | 180일 | 210일 |
| 5년 이상 ~ 10년 미만 | 210일 | 240일 |
| 10년 이상 | 240일 | 270일 |
나의 최종 실업급여 총수급액은 (최종 결정된 1일 구직급여액) × (나의 소정급여일수)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 ❓
오늘은 내 실업급여 수급액을 미리 계산해보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. 오늘 알려드린 계산법과 모의계산기를 통해 새로운 계획을 세우시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 여러분의 성공적인 재취업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! 😊
